[블록미디어 최동녘 기자] 연준은 25bp의 금리 인상을 결정했습니다. 올해 안에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이란 기대감도 커지고 있는데요.

주식시장은 냉탕 온탕을 오갔습니다. 은행위기 등 시장 불안은 아직 해소되지 않았습니다. 탈 달러 내러티브도 미국 경제에 대한 불안을 가중하는 이슈입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주식 시장 대비 좋은 퍼포먼스를 이어갔습니다.

비트코인(BTC)은 29K, 이더리움(ETH)은 2K 근처를 오갔습니다. 지난 일주일 페페코인(PEPE), 플로키(FLOKI) 등 밈 코인이 급등했습니다. 페페코인은 일주일 전 대비 837.9%, 플로키는 19.5% 상승했습니다.

지난주 나스닥은 횡보, S&P500은 0.8% 하락했습니다. 금 선물은 1.2% 상승한 2024.6달러입니다. 암호화폐 시장 퍼포먼스가 주식 시장 대비 좋았습니다. 블록미디어가 이번주 주목할 글로벌 경제와 코인 이슈를 정리했습니다.

# 높아지는 금리 인하 기대감, 은행 불안 속 연준 어떤 움직임 보일지
5월 3일 연방준비제도 회의, 연준은 시장 예상대로 25bp 금리 인상과 함께 금리 동결 가능성을 전했습니다. ‘추가 금리 인상’을 암시하는 표현들을 삭제하며, “이번 회의에서의 기조를 반영했다”는 설명입니다.

시장이 예상하는 연준의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71.3%로 급등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올해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이란 전망이 연이어 제시되고 있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자회견 중 “가까운 미래 금리 인하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음에도, 최근 이어지고 있는 미국 은행 위기 속에서 높은 금리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입니다.

파월: 금리 인하에 시간 걸릴 것 … 노동시장 여건 조금 더 약화될 필요 있어

연준 9월 금리 인하 가능성 71.3% – CME 페드워치

FOMC 결과에…증권가 “연내 금리 인하도 가능”

“올해 美 파산은행 자산,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많아”

옐런 재무장관 “미국 정부 6월1일 부도날 수 있다”

# 이어지는 탈 달러, 미국 경제 위기와 비트코인 강화 계기될까?
미국 경제의 불안감을 더욱 높이는 이슈 중 하나는 세상이 주목하는 ‘탈 달러’ 내러티브입니다. ‘머니프린팅’, 미국은 무한한 달러 발행을 권력으로 세계 경제를 그들의 목적에 따라 주물러왔습니다. 달러 발행의 일방적인 이득을 취해온 미국, 세상에서는 이에 반발하는 세력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죠.

반대하는 의견도 존재합니다. 노벨 경제학 수상자 폴 크루그먼은 “탈 달러가 미국 경제에 줄 영향이 과장됐다”며, “달러가 널리 사용되기는 하지만, 이 구조가 미국 경제에 주는 혜택이 크지는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초기 달러 가치는 실물 가치(금)에 기반해 형성됐습니다. “1달러를 가져오면 상응하는 금을 준다” 많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합리적 구조였죠. 이 구조는 1971년 닉슨 대통령이 금태환 정책 정지를 선언하며 무너졌습니다. 지금의 달러 가치는 미국의 세계 권력과 그들이 만든 시스템에 의해 발생합니다.

달러의 위기는 비트코인 내러티브 강화로 이어졌습니다. 비트코인은 “누구도 자의적으로 조종할 수 없는, 완성된 시스템과 로직에 의해 운영되는 화폐 구조”입니다. 탈 달러 추세가 미국 경제의 약화와 비트코인 강화로 이어질지, 세계 경제의 움직임이 주목됩니다.

“달러는 금융 테러리스트” 발언 인도 은행가 “실체 비해 과다한 권력”으로 수정(feat. 탈달러)

발라지, 100만달러 기부 “머니프린팅이 경제 망치고 있다”

[박영선의 하버드 통신] 달러 패권이 흔들린다?…달러 패권을 선언한 브레튼우즈를 가다

폴 크루그먼, “달러 위기론 무시해도 좋다”

러시아 위안화 결제 요구, 인도는 거부했다